수요와공급
수요와 공급
어떤 금융상품이든 수요와 공급 법칙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살 사람이 많으면 가격이 올라가고 팔 사람이 많으면 가격이 하락하는 단순한 원리입니다.
이를 금리와 경기 사이클에 접목하면 주식시장의 흐름이 보입니다.
쉽게 생각해 금리를 돈의 공급이라고, 경기 사이클을 돈의 수요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금융시장의 돈의 공급이 감소하게 되고 , 금리가 하락하면 돈의 공급이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경기 사이클이 좋아지면 돈의 수요가 증가하고, 반대로 악화되면 돈의 수요가 감소합니다.
이를 그림 관점에서 보면, 금리 사이클이 하락하기 시작한 시점에서는 돈의 공급이 증가하지만, 여전히 경기 사이클이 악화(돈의 수요가 적어)되어 가격이 하락합니다.
그러나 금리 하락이 조금 더 진행되면, 돈의 충분한 공급과 함께 경기 사이클의 상승으로 돈의 수요가 크게 증가해 자산가격이 상승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유동성 효과라고 부르며 이시기에는 자산 가격과 함께 물가 수준도 상승하게 됩니다.
주요 경기지표 3가지
CCIS
■ 소비자 심리지수(CCIS)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
경기전망 총 6개의 주요 개별지수를 표준화하여 합성한 지수입니다.
3~6개월 수준을 추세를 통해 향후 소비전망 등을 참고하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BSI
■ 기업경기 실사지수(BSI)
기업체가 느끼는 체감경기를 나타내며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으면 경기악화를 예상하는 기업이 호전될 것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음을 의미하고 100보다 높으면 경기호전을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00이상이면 긍정적 100미만이면 부정적 의미로 해석하면 됩니다.
CPI
■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통계청이 매월 조사하며, 일상생활에 직업 영향을 주는 500여 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의 가격을 조사해 산출합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경기지표중 하나입니다.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락장의 원리와 투자전략 (0) | 2020.05.08 |
---|---|
상승장의 원리와 시작과 끝 (0) | 2020.05.07 |
신용스프레드와 국채스프레드 (0) | 2020.05.06 |
금리와 주식시장 (0) | 2020.05.05 |
금리가 돈을 움직이는 원리 (0) | 2020.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