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R(Advance Decline Ratio) 등락비율
ADR은 매일매일의 상승 종목수와 하락 종목수의 비율을 표시한 것으로
시장 모멘텀을 확인하기에 좋은 지표입니다.
매수 혹은 매수세력이 어느 정도 강력한지를 알고자 할 때 이용하는 것이 ADR, 즉 등락비율입니다.
ADR은 등락 종목의 누계차가 아닌, 등락 종목의 비율로서 시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등락비율입니다.
지수가 상승하더라도 하락 종목수가 상승 종목수보다 많다면 지수의 상승에너지가 떨어진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다이버전스
ADR은 종목수를 상승종목수와 하락 종목수를 비교하는 만큼 같은 구간에서 다이버전스로도 활용해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ADR 계산법
일정 기간 동안 매일의 상승 종목수를 하락 종목수로 나누어 백분율을 구하고
그것을 이동평균하여 도표화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이동평균은 20일 이동평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ADR = 상승 종목수/하락 종목수X100
20일선 ADR = 최근 20일간 ADR합계/20
해석
ADR이 100% 수준이란 뜻은 상승 종목과 하락 종목이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110%라면 상승 종목수가 하락 종목수보다 10% 가량 많은 것을 의미합니다.
90%인 경우는 하락 종목수가 상승 종목수보다 10% 가량 많은 것을 나타냅니다.
ADR의 상승은 상승 추세로 전환 또는 상승 추세의 강화를 나타내고,
ADR의 하락은 하락 추세로의 전환 또는 하락 추세 강화를 나타냅니다.
ADR의 투자 전략 및 주의 사항
ADR
-ADR이 125% 이상인 경우는 경계를 요하는 시점이고 시세는 이후 반락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반도로 ADR이 75% 이하일 경우는 시세의 바닥권을 의미하고 시장은 이후 상승으로 전환됩니다.
-ADR의 고점은 지수의 고점보다 선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조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율과 윌리엄스 %R (0) | 2020.05.15 |
---|---|
거래량과 OBV 개념과 사용법 (0) | 2020.03.29 |
스토캐스틱 투자전략과 사용법 (0) | 2020.03.26 |
CCI 개념과 투자전략 (0) | 2020.03.25 |
파라볼릭 추세지표 사용법과 투자전략 (0) | 2020.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