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암호화폐 종류와 기능

by SUHIGH 2020. 4. 27.

피자피자



2015년 5월 18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재미있는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미국 플로리다에서 한 프로그래머가 암호화폐 비트코인으로 피자 두 판을 사고 싶다는 글을 게시했습니다. 

피자 두 판의 가격으로 제안한 것은 1만 비트코인이었고 당시 피자 두 판의 가격은 약 30달러, 

1만 비트코인= 약 41달러 정도 였습니다.

수지타산에 맞지 않는 거래였지만 그는 비트코인이 실제 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 여부가 궁금해 테스트를 하려고 하였습니다.


며칠 뒤 2010년 5월 22일, 그는 피자 두 판이 담긴 인증샷과 함게 거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음을 커뮤니티에 공개했습니다.

이때를 기점으로 사람들은 비트코인으로 첫 실물 상품을 결제해 화폐로서의 가치가 입증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5월 22일을 '비트코인 피자데이'로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암호화폐암호화폐


이로써 비트코인을 화폐로서 입증후 지금까지 새로운 화폐들이 생겨났습니다. 

2009년 비트코인 개발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무려 1000여 개에 이르는 암호화폐가 개발됐으며, 

현재에도 새로운 암호화폐들이 만들어지고 사라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암호화폐로는 비트코인을 비롯해 이더리움, 비트코인 골드, 비트코인 캐시, 리플, 대시, 라이트코인, 모네로, 에이다 등이 있습니다.

현재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많은 시총을 차지 하며 암호화폐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시총이 높은 메이저 암호화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비트코인(BTC) 

2009년 1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필명의 프로그래머가 개발한 암호화폐입니다.

총 발행량은 2100만 개로 정해져 있으며, 유통량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한번에 채굴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들고 문제도 어려워져 희소성이 높아집니다.


이더리움(ETH)

러시아 출신 캐나다 개발자 비탈릭 부테린에 의해 창시되었고 2013년 이더리움 백서 발간, 2015년 이더리움을 공개했습니다.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여러 분야에 접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한 기술입니다.

2세대 블록체인이라고도 일컫으며 이더리움 핵심 기술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거래나 결제뿐 아니라 

계약서, SNS, 이메일, 전자투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게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화폐로서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 줄여서 DApp(댑)이라고 부르는 분산 애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을 누구나 만들고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플랫폼입니다)


이더리움은 솔리디티라는 튜링 완전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내장하고 있는 블록체인이라는 필수적이고 근본적인 기반을 제공하고 누구든지 이 언어를 사용해 스마트 컨트랙트,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고 소유권에 대한 임의의 규칙, 트랜잭션 형식, 상태 변환함수 등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리플(XRP)

전 세계 은행 간 실시간 자금 송금을 위한 프로토콜 겸 암호화폐입니다. 

발행될 수 있는 코인 양이 1,000억 개로 한정돼 있으며 채굴 방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2004년 전 세계 은행 간 실시간 자금 속윽ㅁ을 위한 서비스로 개발한 리플페이에서 비롯되었으며 당초 금융거래를 목적으로 개발됐어서 실시간 일괄 정산시스템과 환전·송금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습니다. 

리플 프로토콜의 경우 P2P로 환전 거래가 이뤄지기 때문에 중개기고나이 필요치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국제 간 결제가 가능합니다.

특히 알고리즘으로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다른 암호화폐와 달리 중앙집중화된 발행, 유통구조를 띄고 있고 이때문에 리스크가 한곳에 집중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리플의 프로토콜은 무료 오픈 소스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든지 개발에 참여할 수 있으며 다른 암호화폐처럼 채굴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참가자들이 합의한 내용을 토대로 거래가 승이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비트코인캐시(BCH)

2017년 8월 비트코인으로부터 분할(HardFork)돼 나온 암호화폐 입니다.

비트메인(Bitmain)사 회장 우지한의 주도로 탄생했습니다. 비트코인은 DDos 공격 또는 마이닝풀의 거대화를 막기 위해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블록의 크기를 1MB로 제한 이는 2100건 정도의 거래를 수용할 수 있으나 2013년부터 비트코인의 이용량이 늘어나면서 거래 수용이 한계에 달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 사이즈 증가, 세그윗 등 여러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난항을 겪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해 비트코인캐시 개발

비트코인의 블록이 1MB로 용량이 제한돼 있는 것과 달리 비트코인캐시는 최대 8MB까지 용량 확장이 가능해 처리 속도가 빠르고 수수료도 저렴합니다.


비트코인 SV(BSV)

비트코인 SV는 원래의 비트코인으로, 비트코인 프로토콜을 복원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높은 확장성을 가진 화폐로 만들기 위해 개발중인 암호화폐입니다.



라이트코인(LTC)

2011년 10월, 전 구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찰리 리가 공개한 암호화폐의 하나이며 비트코인에 비해 채굴이 비교적 쉽고 거래 속도가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채굴과 구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암호화폐이며 최대 채굴량은 8,400만 개로 비트코인에 비해 약 2,100만 개보다 4배 더 많습니다.

거래 속도도 평균적으로 라이트코인이 2분 30초로, 10분 정도 걸리는 비트코인 보다 4배가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블록크기는 4MB로 확장하였습니다.


이오스(EOS)

이오스는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을 사용하는 제 3세대 암호화폐입니다. 2017년 댄 라리머가 이더리움 기반으로 개발했고, 2018년 6월 이더리움에서 벗어나

자체 메인넷을 오픈하였습니다. 이오스는 이더리움의 단점인 느린 처리 속도와 

높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등장하였으며 이오스는 분산 애플리케이션

디앱(DApp)을 구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범용적인 블록체인 운영체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스텔라루멘(XLM)

리플에서 하드포크하여 개발된 암호화폐이며 비영리 기업 스텔라 재단에서 운용하는 화폐입니다.

사실상 리플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도 일컬어지며 리플이 기업 간의 자금송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면 스텔라루멘은 개인 간의 거래를 편안하게 운영하고자 만들어진 화폐입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4년주기 반감기 다가오고 있다  (0) 2020.04.30
스테이블 코인이란  (0) 2020.04.29
ICO(가상화폐공개) 정리  (0) 2020.04.29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0) 2020.04.28
암호화폐란 무엇인가?  (0) 2020.04.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