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

선물거래 미결제약정 의미

by SUHIGH 2020. 5. 18.


미결제약정미결제약정


■ 미결제약정

선물·옵션시장에 참가하는 투자자가 선물·옵션계약을 사거나 판 뒤 이를 반대매매(전매·환매)하지 않고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선물·옵션계약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어떤 거래일의 마감시 시장 참가자가 보유하고 있는 미청상된 즉, 결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선물·옵션 계약인 것입니다.

선물의 경우 매도를 한 투자자는 쇼트포지션, 선물매입을 해둔 투자자는 롱포지션을 취하고 있습니다.

선물거래에서 투자주체별로 어떤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가가 시장의 흐름을 좌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외국인이 대규모 롱포지션을 취하고 있을 경우에는 외국인들이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기관투자자들이 쇼트포지션을 취하고 있을 경우 주가약세를 전망하고 있다는 반증입니다.

그러나 외국인이나 기관의 선물 포지션은 현물 거래와 연계된 경우도 많아 일률적으로 해석할 수는 없습니다.


미결제약정수량은 미청산된 매도 또는 매수 포지션 중 한쪽의 총수를 말하는 것이지 두 포지션의 합계는 아닙니다.


선물 분석가들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선물차트 서비스업자들도 총거래량과 미결제약정수량만 사용합니다.

각각의 만기월물에 대한 거래량이 파악되기는 하지만 예측자료로 사용되는 것은 각 상품선물시장의 총거래량입니다.

만기일까지의 기간이 많이 남은 선물계약의 거래량과 미결제약정수량은 일반적으로 매우 적습니다.

만기가 가까워짐에 따라 거래량과 미결제약정수량은 증가하나 만기를 약 2개월 남겨두고 다시 감소합니다.

분명히 거래자들은 계약의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미결제약정을 청산해야만 합니다.

따라서 만기까지의 기간중 초기 몇 개월간의 수량 증가와 거래만기에 즈음한 수량 감소는 시장의 움직임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상품계약의 제한된 수명이라는 특징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과 미결제약정수량에 필요한 계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또는 예측 목적상 일반적으로 총거래량을 사용합니다. 



미결제약정미결제약정



■ 선물시장의 개별 거래량과 미결제약정수량의 의미

선물에서 개개의 미결제약정수량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거래목적상 어떤 종목의 유동성이 가장 높은가를 알려줍니다.

일반적으로 거래는 가장 많은 미결제 약정이 있는 결제월 종목에 국한되어야 합니다.

미결제약정이 적은 달 종목의 거래는 반드시 삼가해야합니다.

이 말은 보다 많은 미결제약정수량은 어떤 특정한 결제월의 약정에 보다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릭스미스 주가 향후 향방은??  (0) 2020.10.19
자금관리 켈리베팅에 대해 알아보자  (0) 2020.05.28
옵션거래란..  (0) 2020.05.14
선물거래 정의  (0) 2020.05.13
재무제표 간단한 요약  (1) 2020.05.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