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에어드랍 포크 토큰 용어 정리

by SUHIGH 2020. 5. 2.


airdropairdrop



에어드랍

암호화폐 시장에서 특정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람에게 투자 비율에 따라 신규 코인이나 

코인을 무상으로 지급하는 것을 뜻합니다.

말 그대로 '공중에서 투하한다'는 뜻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특정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람이 신규 코인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는 것이며 주식시장에서의 배당락이나 무상증자와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보통 신규코인을 상장시키거나, 하드포크가 생성될 때 이벤트나 마케팅의 한 요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편, 특정 코인을 에어드랍할 경우 '스냅샷(snapshot)'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는 에어드랍 시 지급될 수량을 계산하기 위해 특정시점에 보유하고 있던 암호화폐의 잔고를 기록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스냅샷 일정은 별도 공지되는데, 이 일정을 기준으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어야 에어드랍에 참여하게 됩니다.

예컨대 스냅샷 일정이 1일이라고 가정한다면 해당 코인의 거래는 1일부터 정지되고 그리고 이날 이 코인을 보유한 투자자들을 기준으로 2일 이후 정해진 비율에 따라 코인이 분배됩니다.



ForkFork


■ 포크

포크(Fork) 기존의 블록체인 플랫폼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성능을 개선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말이며 포크는 호환성 유무에 따라 소프트 포크(soft fork) 하드포크(hard fork)로 나뉘게 됩니다.


블록체인 플랫폼의 기능 개선, 보안 위협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암호기술, 합의 기법 등을 적용할 때 이전 블록체인과 구별하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소프트 포크

새로운 블록 생성 규칙을 적용한 블록을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생성 규칙은 네트워크 참여자 간에 합의로 결정되며, 이전 블록 체인과 호환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무조건 새로운 블록 규칙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드 포크

소프트포크와는 달리 새로운 블록 생성 규칙을 적용한 블록을 기존 블록체인과는 별개로 새로운 블록체인을 시작하는 것을 말합나다. 이전 버전과 호환성을 유지하지 않고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반드시 새로운 블록 생성 규칙을 적용해야 합니다.

만약 하드 포크 적용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참여자들은 이전 블록 생성 규칙으로 되돌려야 합니다.



토큰토큰


■ 토큰

특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응용 서비스에서만 사용하는 암호화폐입니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플랫폼은 거래 수수료, 채굴 보상 등을 위해 코인이라는 자체 지불 수단을 가집니다.

이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사용자를 위한 응용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사용자와 참여자들을 새롭게 확보해야 합니다.

이 특정 응용 서비스만을 위한 별도의 지불 수단이 토큰입니다.

토큰은 코인보다 많은 거래 수수료와 보상을 제공할 수 있어 네트워크 사용자와 참여자들을 더 많이 유도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충분한 응용 서비스 사용자가 확보되면 이 응용 서비스를 위해 독립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토큰은 독립적인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를 시험하는 테스트넷에서의 지불 수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토큰에서 코인으로 발전하며 테스트넷에서 토큰을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블록체인 플랫폼인 메인넷에서 코인을 지불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블록체인 용어  (0) 2020.05.03
거래소 종류  (0) 2020.05.02
PoW,PoS,PoI,DPoS 정리  (0) 2020.05.01
비트코인 4년주기 반감기 다가오고 있다  (0) 2020.04.30
스테이블 코인이란  (0) 2020.04.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