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스테이킹이란 무엇인가?

by SUHIGH 2020. 7. 21.

스테이킹스테이킹



스테이킹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암호화폐 지갑에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이는 보상을 받기 위해 암호화폐를 동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이 있으나 스테이킹은 맡겨만 두면 이자를 주는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테이킹스테이킹


■ 스테이킹(Staking)

스테이킹은 암호화폐의 일정량을 지분으로 고정시키는 행위이며 저축과 유사한 개념으로 받아들이면 되겠습니다.

사용자가 가진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맡기고, 그 대가로 수익 보상을 받는 서비스입니다.


■ 언스테이킹(unstaking)

스테이킹과 반대로 자신이 스테이킹한 것을 취소 또는 해제하여 보유한 암호화폐를 출금 또는 거래 가능한 상태로 만들면서 적금을 해지한다는 개념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스테이킹 과연 커다란 수익만 가져다 줄까?

PoS 기반 암호화폐는 일반 트레이딩보다 스테이킹 참여자가 이익을 얻기 유리한 구조입니다.

스테이킹으로 상당수 암호화폐가 묶여 있고 암호화폐 발행량이 늘어나면 스테이킹 참여자는 

암호화폐의 가격이 올랐는데 추가 발행에 따른 보상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일반적인 거래를 하는 사람들은 전부 스테이킹을 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의문이 생기게 됩니다.


스테이킹스테이킹


하지만 암호화폐의 가격이 하락하게 된다면 일정기간 동안 묶여 있는 암호화폐가 하락해버리면 추가보상을 받는다 하더라도 처음 투자 금액보다 적은 금액을 얻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쉽게 비유해 보자면 달러예금을 넣어두었는데 달러가격이 하락하게되고 예금을 해지하면서 

기존가격 보다 낮은 가격에 팔게되면서 환차익이 낮아지는 구조랑 비슷한 맥락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실제로 한 사례로 허니콤파이낸스 통계에 따르면 PoS 프로젝트 10곳 중 1년 전후 금본위 기준 수익률을 비교했을 때 플러스를 기록한 곳은 테조스(XYZ)뿐이었고 PoS프로젝트 중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이오스(EOS)는 금본위 기준 마이너스 49% 수익률을 기록했다는 사례가 있습니다

.


스테이킹스테이킹



또한 토큰의 순환이 약해지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스테이킹으로 인해 암호화폐가 묶이면서 거래량도 떨어지는데다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며 블록체인의 특징인 탈중앙화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 투자에 앞서 신중하게 고민후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댓글